♥ 2022년 9월 4일 일요일 선곡표 ♥
cpbcfm
2022-08-31 09:23:05
1부
조지 프리더릭 헨델 (1685-1759)
‘푸른 초원, 아름다운 숲이여(Verdi prati, selve amene)’
안드레아스 숄(Andreas Scholl/카운터테너), 베를린 고음악 아카데미(Akademie für Alte Musik Berlin)
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(Sergei Rachmaninoff, 1873-1943)
‘보칼리제(Vocalise)’ op.34
이반 피셰르(Iván Fischer/지휘), 부다페스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(Budapest Festival Orchestra)(
-------------- 음악은 잠시 동안 --------------
크리스토발 데 모랄레스 (Cristóbal de Morales, c.1500-1553)
모테트 ‘온 땅은 하느님께 환희하라(Jubilate Deo omnis terra)’
조르디 사발(Jordi Savall/지휘), 에스페리옹21(Hespèrion XXⅠ), 라 카펠라 레이알 데 카탈루냐(La Capella Reial de Catalunya)
조스켕 데프레 (Josquin des Prez, c.1450-1521)
‘천 번의 한숨(Mille Regretz)’
조르디 사발(Jordi Savall/지휘), 라 카펠라 레이알 데 카탈루냐(La Capella Reial de Catalunya)
루이스 데 나르바에스 (Luis de Narváez, c.1500-1552)
‘천 번의 한숨(Mille Regretz)’
아리안나 사발(Arianna Savall/하프)
크리스토발 데 모랄레스 (Cristóbal de Morales, c.1500-1553)
<무장한 사람(L'homme arme)> 미사 중 ‘주님의 어린양(Agnus dei)’
앨리스테어 딕슨(Alistair Dixon/지휘), 샤펠 뒤 루아(Chapelle du Roi)
안톤 브루크너 (Anton Bruckner, 1824-1896)
‘환상곡(Fantasie)’ G장조, ‘그리움(Erinnerung)’ A플랫장조
안나-마리아 마르코비나(Ana-Marija Markovina/피아노)(4:29-5:19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카를로 몬차 (Carlo Monza, 1735-1801)
현악사중주 B플랫장조 중 3악장 Adagio, 4악장 Affettuoso
에우로파 갈란테(Europa Galante) (3:15-3:20)
2부
요하네스 브람스 (Johannes Brahms, 1833-1897)
‘내 여왕이여, 그대는 행복하여라(Wie bist du, meine Königin)’ op.32-9
마티아스 괴르네(Matthias Goerne/바리톤), 크리스토프 에센바흐(Christoph Eschenbach/피아노)
빈첸초 우골리니 (Vincenzo Ugolini)
12성부 모테트 ‘(Beata es virgo Maria)’
스티븐 클리오버리(Stephen Cleobury/지휘), 켐브리지 킹스컬리지 합창단(Choir of King’s College Cambridge)
------------ 이 주의 음악신보 ------------
윤이상 (1917-1995)
바이올린 협주곡 3번 중 3악장
박수예(바이올린), 오스모 벤스케(Osmo Vänskä/지휘), 서울시립교향악단
안토니오 비발디 (Antonio Vivaldi, 1678-1741)
바이올린 협주곡 G장조 op.3-3, RV 310 (Allegro-Largo-Allegro)
리날도 알레산드리니(Rinaldo Alessandrini/지휘), 콘체르토 이탈리아노(Concerto Italiano)
(2:12-1:56-2:19)
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(Johann Sebastian Bach, 1685-1750)
협주곡 F장조 BWV 978 (Allegro-Largo-Allegro)
리날도 알레산드리니(Rinaldo Alessandrini/하프시코드)
(2:35-2:06-2:42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크리스토프 그라우프너 (Christoph Graupner, 1683-1760)
리코더와 현악, 콘티누오를 위한 서곡 F장조
도로테 오베를링어(Dorothee Oberlinger/리코더), 앙상블 1700
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(Wolfgang Amadeus Mozart, 1756-1791)
바이올린, 비올라, 피아노를 위한 세 곡의 노투르노 KV 437
베로니카 에베를레(Veronika Eberle/바이올린), 닐스 묀케마이어(Nils Mönkemeyer/비올라), 윤홍천(피아노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