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년 11월 13일 (일)
cpbcfm
2022-11-13 07:55:58
1부
카롤 시마노프스키 (Karol Szymanowski, 1882-1937)
프렐류드 D단조 op.1-2
크리스티안 지메르만(Krystian Zimerman/피아노)
(3:43)
후고 볼프 (Hugo Wolf, 1860-1903)
‘고독에 몸을 바친 자(Wer sich der Einsamkeit ergibt)’, ‘눈물 젖은 빵을 먹어보지 못한 이는(Wer nie sein Brot mit Tränen aß)’
베냐민 아플(Benjamin Appl/바리톤), 지몬 가우덴츠(Simon Gaudenz/지휘), 예나 필하모니(Jenaer Philharmonie)
(3:19-2:17)
-------------- 음악은 잠시 동안 --------------
페르디난트 힐러 (Ferdinand Hiller, 1811-1885)
피아노 5중주 G장조 op.156 중 1악장 Allegro con anima
민게트 콰르텟(Minquet Quartett), 일리버 트린들(Oliver Triendl/피아노)
(12:02)
가브리엘 포레 (Gabriel Fauré, 1845-1924)
‘뱃노래(Barcarolle)’ 2번 G장조 op.41
마르게리트 롱(Marguerite Long/피아노)
(6:04)
조아키노 로시니 (Gioachino Rossini, 1792-1868)
<세미라미데(Semiramide)> 중 ‘이렇게 가혹한 깨달음에(In sì barbara sciagura)’
마리-니콜 레미오(Marie-Nicole Lemieux/알토), 엔리케 마촐라(Enrique Mazzola/지휘), 몽펠리에 국립 관현악단(Orchestre national de Montpellier Occitanie)
(9:48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프란츠 리스트 (Franz Liszt, 1811-1886)
<순례의 해> 1권 중 ‘제네바의 종(Les cloches de Genève)’
찰스 오웬(Charles Owen/피아노)
(6:13)
2부
프란츠 슈베르트 (Franz Schubert, 1797-1828)
‘세레나데(Ständchen)’
로렌츠 두프츠슈미트(Lorenz Duftschmid/아르페지오네), 파울 굴다(Paul Gulda/포르테피아노)
(3:52)
요하네스 브람스 (Johannes Brahms, 1833-1897)
<독일 레퀴엠(Ein deutsches Requiem)> 중 ‘만군의 주님 당신의 거처가 얼마나 사랑스럽습니까!(Wie lieblich sind deine Wohnungen)’
마린 알솝(Marin Alsop/지휘), 라이프치히 방송 합창단(MDR Rundfunkchor), 라이프치히 방송교향악단(MDR-Sinfonieorchester)
(4:55)
------------ 이 주의 음악신보 ------------
안토니오 비발디 (Antonio Vivaldi, 1678-1741)
플루트 협주곡 E단조 RV 432 (Allegro-Grave sopra il Libro), 협주곡 F장조 RV 572 ‘프로테우스, 혹은 뒤집힌 세상(Il Proteo ò sia Il Mondo al rovescio)’ (Allegro-Largo-Allegro)
엘레오노라 비슈체비츠(Eleonora Bišćević/플루트), 아망딘 베이에르(Amadine Beyer/바이올린), 글리 인코그니티(Gli Incogniti)
(2:40-2:08-3:51-2:28-3:08)
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(Wolfgang Amadeus Mozart, 1756-1791)
교향곡 41번 C장조 ‘주피터’ KV 551 중 4악장 Molto allegro
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(Nikolaus Harnoncourt/지휘),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(Royal Concertgebouw Orchestra)
(11:02)
요한 슈트라우스 2세 (Johann Strauss Jr, 1825-1899)
<박쥐(Die Fledermaus)> 중 ‘고향의 노래여(Klänge der Heimat)’
알린 오저(Arleen Auger/소프라노),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(Nikolaus Harnoncourt/지휘), 로열 콘세르트헤바우 오케스트라(Royal Concertgebouw Orchestra)
(4:41)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프리츠 크라이슬러 (Fritz Kreisler, 1875-1962)
푸냐니 양식의 서주와 알레그로
제바스티안 보렌(Sebastian Bohren/바이올린), 차츠 체임버 아티스츠(Chaarts Chamber Artists)
(5:5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