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C버전으로 보기

2023년 1월 1일 (일)

cpbcfm 2022-12-30 19:03:33

1부

마우로 줄리아니 (Mauro Giuliani, 1781-1829)
<그랜드 듀오 콘체르탄트(Grand Duo Concertant)> op.85 중 Andante molto sostenuto
미카엘 헬라스부오(Mikael Helasvuo/플루트), 유카 사비요키(Jukka Savijoki/기타)
(3:59)

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(Johann Sebastian Bach, 1685-1750)
칸타타 41번 <이제 새해를 맞아 주님께서는 찬미 받으소서(Jesu, nun sei gepreiset zu diesem neuen Jahr)> 중 첫 합창곡
마사아키 스즈키(Masaaki Suzuki/지휘), 바흐 콜레기움 저팬(Bach Collegium Japan)
(7:55)

-------------- 음악은 잠시 동안 --------------

요한 슈트라우스 2세 (Johann Strauss II, 1825-1899)
‘샴페인 폴카(Champagner-Polka)’ op.211
다니엘 바렌보임(Daniel Barenboim/지휘),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(Wiener Philharmoniker)
(2:37)

요한 슈트라우스 2세 (1825-1899)
‘트리치 트라치(Tritsch-Tratsch)’ 폴카 op.214, ‘봄의 소리(Frühlingsstimmen)’ 왈츠 op.410
요스 판 이메르셀(Jos van Immerseel/지휘), 아니마 에테르나(Anima Eterna)
(2:51-6:45)

요한 크리스티안 바흐 (Johann Christian Bach, 1735-1782)
<아르타세르세(Artaserse)> 중 ‘거친 바다를 헤쳐나가며(Vo solcando un mar crudele)’
필립 자루스키(Philippe Jaroussky/카운터테너), 르 세르클 들라르모니(Le Cercle de l'Harmonie)
(6:49)

안토닌 드보르자크 (Antonín Dvořák, 1841-1904)
현악사중주 12번 F장조 ‘아메리카’ 중 2악장 Lento
탈리히 콰르텟(Talich Quartet)
(7:49)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에드바르드 그리그 (Edvard Grieg, 1843-1907)
‘마지막 봄(The Last Spring)’ op.34-2
마이클 틸슨 토머스(Michael Tilson Thomas/지휘), 샌프란시스코 심포니(San Francisco Symphony)
(5:44)

2부

벤뉘 안데르손 (Benny Andersson, 1946- )
‘Happy New Year’
벤뉘 안데르손(Benny Andersson/피아노)
(3:14)

필립 롬비 (Philippe Rombi, 1968- )
‘아베 마리아(Ave Maria)’
나탈리 드세(Natalie Dessay/소프라노), 필립 롬비(지휘),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(London Symphony Orchestra)
(4:27)

------------ 이 주의 음악신보 ------------

루이제 아돌파 르 보 (Luise Adolpha Le Beau, 1850-1927)
첼로 소나타 D장조 op.17 (Allegro molto-Andante tranquillo-Allegro vivace)
스티븐 이설리스(Steven Issedrlis/첼로), 코니 쉬(Connie Shih/피아노)
(5:26-4:30-5:53)

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(Wolfgang Amadeus Mozart, 1756-1791)
바이올린 소나타 C장조 KV 296 중 2악장 Andante sostenbuto, 환상곡 D단조 KV 397, ‘케겔슈타트(Kegelstatt)’ 트리오 E플랫장조 KV 498 중 1악장 Andante
지히스발트 카위컨(Sigiswald Kuijken), 사라 카위컨(Sara Kuijken), 마리 카위컨(Marie Kuijken)
(6:15-6:03-5:30)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치프리아노 데 로레 (Cipriano de Rore, 1515-1565)
‘암사슴이 시냇물을 그리워하듯(Sicut cervus desiderat)’
오리 하르멜린(Orí Harmelin/류트)
(3:28)